HTTP Status Code
HTTP는 상태에 따라서 코드가 나눈다. 이를 상태 코드라고 부르는데 이 분류를 앞의 숫자에 따라서 구분할 수 있다.
1. 100번대 : Information responses
1로 시작하는 상태 코드로 서버가 요청을 받았고 서버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는 작업을 계속 진행하라는 의미이다.
종류
100. continue
현재 진행 상태에 문제가 없다.
101. switching protocol
클라이언트에 의해 보낸 업그레이드 요청 헤더에 대한 응답으로 보낸다.
102. processing
서버가 요청을 수신하였으며 이를 처리하고 있어 아직 응답을 줄 수 없다.
2. 200번대 : Successful responses
200. OK
요청이 성공되었다.
201. Created
요청 성공하여 새로운 리소스를 생성한다.
202. Accepted
요청 수신 후 그에 따 행동이 불가능 하다.
203. Non-authoritative information
메타 정보 세트가 오리진 서버의 것과 다르지만 로컬이나 서드 파티 복사본에서 보아졌다는 의미
등등
3. 300번대 : Redirection messoages
300. Multiple Choice
요청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응답이 가능하다
301 Moved permanently
요청한 리소스의 URI가 변경되었다는 의미다.
302. Found
요청한 리소스의 URI가 일시적으로 변경되었다.
303. See other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를 다른 URI에서 얻어야 할때 보내는 상태 코드다.
등등
4. 400번대 : Client error responses
400. Bad Request
잘못된 문법으로 인해 서버에 요청이 불가함을 의미한다.
401. Unauthorized
비인증을 의미하는 상태 코드이다.
402. Payment required
온라인 결제 시스템을 위해 만들어졌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403. Forbidden
클라이언트가 콘텐츠에 접근할 권리가 없을 때 보내는 상태 코드다.
404 Not found
서버가 요청받은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을 때 보내는 상태 코드다.
등등
'프론트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53. OOP, FP (0) | 2023.05.07 |
---|---|
52. Event Loop (0) | 2023.05.07 |
50. 원시 자료형 VS 참조 자료형, Shallow Copy와 Deep Copy (0) | 2023.05.07 |
49. Hoisting (0) | 2023.05.07 |
48. Scope (0) | 2023.05.07 |